ETC

    Latest MESA install on Ubuntu

    다른 PPA도 있지만, 너무 최신인지 불안정하다. 아래 kisak-mesa PPA가 최신이면서 내 PC 환경에서 안정적이다. 설치하게 된 이유는 OBS가 AMD Radeon GPU를 쓰는 내 PC에서 계속 뻑이 나서 좀 더 높은 버전의 MESA를 찾던 중에 알게 되었다. 1시간 째 OBS를 녹화중인데 문제가 없다. 즉, 나한테는 이게 안정화 버전이라는 것이다. 또 업데이트를 한다면 안될 수도 있다. 당분간 이 세팅으로 그냥 가자! https://launchpad.net/~kisak/+archive/ubuntu/kisak-mesa kisak-mesa fresh : kisak The goal of this PPA is to provide the latest point release of Mesa plus s..

    OBS로 타임랩스(Timelapse) 영상 만들기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여, FPS는 1/5로 설정하고, 아래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결과를 출력한다. ffmpeg -i "$1" -vf "setpts=PTS/48" -an $1.mkv https://blog.naver.com/kyoungin90/222280680057 OBS로 타임랩스 만들기 타임랩스는 장시간의 영상을 짧은 영상으로 배속재생되는 영상을 말한다. 타임랩스를 만드는 가장 간단한 ... blog.naver.com

    포터블 모니터 제우스랩 z15st

    예정에 없던 포터블 모니터를 샀다. 아래 제품인데 가격이 착하다(중고). 사실 중고 인지도 모르겠다. 듀얼 모니터도 써보고 DEX로 연결도 해보았는데 잘 된다. 지금은 DEX 모드에서 블루투스 키보드로 작성 중이다. 터치, 15.6인치, 밝기250 이 스펙에 13.7만원이면 나쁘지 않다. 확실히 제품 자체는 좀 약해보이긴 하다. 어쩔 수 없는 부분. 액정은 글레어 타입이라 반사가 있는데 다행히 논 글레어 액정 필름을 하나 준다. 붙여서 써보니 훨씬 괜찮다.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을 듯 하다. 제 돈주고 사려면 한성 제품이 끌리긴 하지만 이 제품은 정말 가격이 다 했다. :-)

    Budgie Desktop Manager on Ubuntu 20.04

    Budgie Desktop Manager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Budgie 설치 방법은 아래 링크 https://linuxconfig.org/how-to-install-budgie-desktop-on-ubuntu-20-04-focal-fossa-linux $sudo dpkg-reconfigure lightdm $sudo reboot

    한성 TFG ART Wireless 블루투스 기계식 키보드

    기존에 쓰던 키보드 "한성 GK993B SKY 블루투스 기계식"에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다가 신제품이 나왔다는 소식을 보고 고민하다가 결국 구매를 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박이다. 구매를 하게 된 이유는 다른 것은 없다. 통고무 하판이다. 무게가 상당하게 나가겠지만 묵직하게 잡아주고 통울림이 없는 제품을 써보고 싶었다. 구매는 블랙에 저소음 적축을 샀다. 기존 GK993B과 같은 회사의 텐키리스 제품이기에 외관상에 느낌은 전혀 이질감이 없다. 그러나 타이핑을 하면 느낌이 새롭다. 물건을 만난 것 같다. 유선+블루투스 지원은 나에게는 필수이기에 비슷한 제품으로는 키크론 K8 정도가 있을 것 같다. 키크론도 저렴한 편은 아니고 게이트론 스위치인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 제품을 오래 쓸 것 같다. RG..

    Notion for Linux

    Notion이라는 녀석을 최근 알게 되고 기존에 Dropbox에 md 파일로 관리하던 나의 문서들을 새롭게 관리하려고 한다. 배움에 조금 수고가 들을 것 같아서 조금씩 써보려고 한다. 사용 언어를 '영문'으로 하면 다양한 Template을 사용할 수 있다. 한국어로 하면 번역된 Template가 많지 않다. 고로 영문으로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리눅스 전용 클라이언트는 없으나 서비스 자체가 Electron으로 만든 것이라 크로스 플랫폼 지원이 어렵지 않다. 아래 Repo에서 리눅스용 클라리언트를 설치할 수 있다. 굳이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면 훨씬 더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https://github.com/davidbailey00/notion-linux davidbailey0..

    Windows 10 WSL 2에서 리눅스 GUI 프로그램 실행

    노트북이 삼성 Pen S 다보니 윈도우를 안쓰기가 참 아쉽다. 터치에 SPen도 지원되는데 드라이버 지원도 잘 안되는 리눅스만 쓸 것인가? 그건 아니다. 그래서 간만에 윈도우 업데이트 및 WSL 2도 설치했다. 역시 윈도우10의 깔끔함이라... 좋다. WSL이 생기면서 여러모로 리눅스 활용이 편해진 것 같다. 어짜피 작업은 서버에서하고 VS Code로 서버 연동해서도 바로 코딩이 가능하니 윈도우냐 리눅스냐는 큰 의미는 없다. WSL로 필요한 GUI 프로그램을 돌리려고 할 때 사용 방법이다. 시간 날때 해봐야지. 다른 것은 아니고 지금 익숙하게 사용중인 gtimelog를 사용할 생각이다. :-) 방화벽에 예외로 등록 꼭 해줘야 한다. 삽질했다. psychoria.tistory.com/739 Windows ..

    gtimelog: 리눅스에서 시간 관리툴

    알만한 분들은 아시는 툴이다. 오래된 툴이고 이전에 모 교수님도 즐겨 사용하셨다. (지금은 모르겠다만) 데탑, 서버, 노트북 모두가 리눅스를 쓰기 때문에 크로스 플랫폼을 고민할 필요도 없고 시간 로깅을 간단하게 하고 싶었다. 그래서 gtimelog를 사용하고 있다. 아주 만족스럽다. ** 크로스 플랫폼도 가능하다. 윈도우10에서 WSL로 사용하면 된다. 물론 잘된다. Dropbox에 log 파일을 걸어놓고 사용하면 멀티 디바이스에서 동기화가 된다. 내가 얼마나 자리에 앉아만 있고 실제 작업을 하지 않는지(?) 알게되었다. 여러모로 나에게 동기부여를 많이 해준다. 아자! gtimelog.org/ gtimelog GTimeLog is a small time tracking application for G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