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RUST 개발 환경 세팅

IDE: VSCODE
나와 같이 VI 에디터만 사용해오던 사람의 경우, IDE를 사용한다는 것이 굉장히 낯설다. IDE가 주는 장점을 알면서도 익숙하지 않은 것은 시작하기가 어렵다. 운영체제 또한 리눅스, 윈도우, 맥까지 다양하다. 나는 현재 우분투와 윈도우즈10을 사용하고 있다. 어차피 개발은 서버에 붙여서 할 것이기 때문에 굳이 리눅스를 고집할 필요도 없다. 사실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 VSCODE를 이용하면 된다. 크로스 플랫폼 지원을 지원하고 SSH를 이용해서 원격지의 서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서버는 리눅스가 될 것이고 나는 굳이 PC에 리눅스를 쓸 필요가 없다. 맥이건 윈도우즈건 VSCODE만 설치하면 된다. VSCODE는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개발 환경 설정도 동기화를 해준다. 

 

RUST 설치 및 사용하기 
이미 많은 분들이 정리하셨기 때문에 더 쓸 필요가 없다. vscode에서 rust 사용하기 (Linux), vscode에서 rust 사용하기 (Windows) 위 2개의 글을 보고 설치하면 된다. 글을 작성해주신 분께 감사드릴 뿐이다. 컴파일러를 개발버전으로 쓸지, 안정화 버전으로 쓸지는 추후의 문제이다. 표준화되기 이전의 Feature가 필요한 분들은 Nightly 버전을 사용하시면 된다. 

 

리눅스 기반 RUST 고수의 환경 설정
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나 또한 현재 우분투 20.04 사용 중), 고수의 개발 환경도 궁금할 것이다. 나만의 개발 환경을 갖추게 되면 더 동기 부여도 되고, 개발의 효율성 또한 개선되기 때문이다. 이런 분들께는 Desktop and editor setup for Rust development 이 영상을 보시길 추천한다. Jon Gjengset의 개발 환경을 소개하는 영상인데 이 분은 현재 아마존 엔지니어이고  작년에 MIT에서 박사를 받았다. RUST로 DB를 개발하고, Top-tier 학술대회에 게재하신 엄청난 분이다. 이 분의 스트리밍 영상들도 (좀 많이 길다. 영화 2-3편 분량...) 정말 유용할 것이다. 나도 준비가 되는대로 이 분 영상을 픽해서 볼 생각이다. :-)

 

Jon Gjengset의 영상 중 하나... 

 

** Why are my videos so damn long? 풀 영상은 아래 링크에 있다. 3분이 아깝지 않은 훌륭한 말씀이다. **
youtu.be/KPbrI3xWdCg